Cafe&Blog

‘탕카’에 깃든 티베트 佛心

여여니(여연) 2005. 9. 9. 13:01

 

‘탕카’에 깃든 티베트 佛心

<서울신문 2005/9/7/수/문화종합27면>

<문화일보 2005/9/6/화/학술25면>

 

한국불교미술관 '삶과 죽음을 넘어서'展

티베트 불화(佛畵)의 정수를 맛볼 수 있는 특별한 전시회가 열린다.

한국불교미술박물관은 7일부터 내년 2월5일까지 ‘티베트 불화:삶과 죽음을 넘어서’ 특별전을 개최한다. 박물관 소관유물 중 티베트 탕카(thangka) 100여점을 엄선해 한 자리에 선보이는 것으로, 해외 불교미술에 관한 전시 중 처음으로 기획된 것이다.

 

탕카란 주로 걸개그림으로 제작된 티베트의 탱화를 가리킨다. 사원의 벽에 걸려 예배 때 사용되거나 종교 행렬에 쓰이기도 하며, 설법을 도해(圖解)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또 명상의 보조수단으로서, 탕카에 그려진 존상을 보며 깨달음을 얻거나 낯선 사후 세계에서의 대처법을 미리 훈련하기도 한다.

 

탕카의 주제 역시 다양하다. 각종 만다라와 아촉여래정토, 미륵정토 등 불보살의 세계를 비롯해 수호존, 호법존을 주존(主尊)으로 그린 것이 많다. 또 라마와 수호존 등을 나무의 형태로 그린 그림인 ‘촉싱’과 라마도는 티베트의 다양한 불교 종파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특징을 반영한다.

 

주요 전시작은 아촉여래가 관장하는 동방의 묘희세계(妙喜世界)정토를 그린 ‘아촉여래정토도’와, 물에서 피어난 커다란 연꽃 위에 앉아 있는 사비관음보살을 그린 ‘사비관음보살’,‘연화생(蓮花生)’을 의미하는 ‘파드마삼바바’등이 있다.

 

이와 함께 석가여래도, 불전도, 관음보살도 등이 다수 전시돼 본관 상설전시실에 있는 조선 불화와 비교·감상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이번 특별전은 올해 문화관광부 복권기금 지원사업 중 하나로, 구립 어린이집 등 종로지역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탕카를 직접 제작해보는 체험교실을 운영한다.(02)766-6000.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